버클리 뮤지엄, 2006년 11월

그림들/sf 중앙일보 2007. 2. 26. 10:21 posted by 긴정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정한
. 

버클리 아트 뮤지엄


18세기말 시작되어 19세기 중반에 영국인 제임스 와트(James Watt) 의해 완성된 증기기관은 세상을 바꾼다.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화가들은 튜브에 담긴, 화학적으로 제작된 총천연색 물감들을 들고 스튜디오를 뛰쳐나와 야외에 이젤을 세우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다.  인상파 화가들이다.  그림의 주제도 귀족들의 얼굴과 종교 이야기에서 벗어난다.  길거리의 사람들, 야외 소풍, 무용하는 소녀들, 사창가의 여자들이 캔버스에 피어난다. 

20세기 초반 사진기술이 피고, 후기 산업사회가 시작된다. 비싼 돈을 지불하고 달을 기다려 얻어지던 초상화의 의미가 값싸고 빠른 강력 복제 기술 사진에 의해 흐려진다.  회화의 죽음이 화가들 사이에 회자된다.  1935/36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에세이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작품(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쓴다.  계속 발전되는 후기 산업 사회는 지구를 작게 만든다.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 지구촌(Global village)’ 미디어는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명제와 함께 포스트 모더니즘이 사람들 입에 담긴다.  책을 보다 눈이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불한당들의 세계사’, ‘상상동물 이야기등은 시대 문학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이다.  회화는 새로운 언어에 대한 권위로 대두되던 모더니즘에서, 이미 존재하며 작동하고 있는 언어들 사이의 유희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쯤 서울에서 한문, 한글, 영어가 함께 신문지에 섞인다.  서울에서는 한국어 방송과 영어 방송이 공중파를 탄다.  라디오 주파수를 맞추면 북한 방송도 들을 있다는 소문도 기괴한 호기심으로 돌아다닌다. 부산에서는 일본어 방송이 잡힌다. 

1990년대 서울, 프랑스 지식인의 상징인 , 이색적인 대머리 게이 철학자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사진이 여기저기에 달라 붙는다.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The Archaeology of Knowledge)’, 롤랑 바르뜨(Roland Barthes) 사랑의 단상 식자들에게 필독서로 떠오른다. (‘사랑이란 단어는 많은 돈을 만든다.)

이때를 전후로 대학로가 인사동과 더불어 서울의 문화 예술의 근거지로 자리를 잡는다.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회관, 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 한국 산업디자인 진흥원, 등으로 시작해서 크고 작은 소극장들이 늘어서 있고, 다수의 교육 기관들과 창경궁이 서있다.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가 소극장에서 공연되고, 소극장 칼국수 집에 매실주가 작은 병에 담겼다.  조금 지나서 불륜도 사랑이라면서 눈은 거의 감고, 아래 두줄 이를 주저 없이 드러내 웃는 김광석 노래부른다.

              밀레니엄 바이러스와 디지털이다 저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 시작된 2000. 네그로폰테는 엠아이티 대학의 미디어 공동 설립자고, 마샬 맥루한을 이은 잡지 웨이어드(Wired)’ 간판 스타이다.  세대들의 닷컴 붐이 주식시장을 활활 달구고, 매스 미디어가 멀티미디어에 길을 터준다.

              세대 들이 거품 빠진 닷컴 붐을 이어가고 있는 지금, 아이 포드로 귀를 틀어막은 대학생들이 즐비한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미셸 푸코가 머물던 .  서울의 대학로를 연상시키는 . 그곳에 버클리 아트 뮤지엄(http://www.bampfa.berkeley.edu) 있다.  2006 2 22 시작 2007 6 24 끝나는 시간의 척도(Measure of Time)’전은 급변하는 세상에 반응하고 반항하는 예술가들의 모습을 담는다. 안에 마르셸 뒤샹(Marcel Duchamp), 잭슨 폴락(Jackson Pollock), 레이(Man Ray), 죠셉 스텔라(Joseph Stella), 알렉샌더 칼덜(Alexander Calder), 데니스 오펜하임(Dennis Oppenheim), 로버트 얼윈(Robert Irwin), 셜리 셔어(Shirley Shor) 기라성 같은 작품들이 있다.

              그리고 중국 도자기들과 청동기들이 다른 켠에 한산하다.  

입장료, 어른8, 어린이, 학생, 노인, 장애인 5참고 사이트 http://www.bampfa.berkeley.edu/index.html

2006년 11월
사용자 삽입 이미지

Johannes Vermeer
The Art of Painting
c. 1666-1673
Oil on canvas
130 x 110 cm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2003진주 귀걸이를 소녀(Girl with a pearl earring)’라는 영화가 개봉되었다.  콜린 펄스(Colin Firth) 버미어(Vermeer, Johannes) 역할을 하고 스칼렛 죠한슨(Scarlett Johansson) 진주 귀걸이를 소녀로 나온, 조명과 촬영이 인상적인 영화였다.  요하네스 버미어(Johannes Vermeer ) 동명 그림을 주제로 제작된 영화다.  당시 동명의 책도 출판되어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뉴욕의 메트로 폴리탄 뮤지엄에 있는 버미어의진주 귀걸이를 소녀 뮤지엄의 광고에 사용되기도 했다.  그림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아름다움이 어떤 것인지를 말해준다.  그림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버미어의 붓끝에서 나왔고, 붓은 그의 작업실에 놓여져 있었다.  그의 작업실을 엿볼 있는 그림이 있다.  페인팅 기예(The Art of Painting)’.  그림에는 붓을 들고 있는 버미어(?) 뒷모습과 모델이 보인다.  1600년대 독일 화가와 모델의 옷맵시, 작업실 풍경, 분위기가 물씬하다.  400 년이 지난 지금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작업실들과 많이 다르다.

샌프란시스코 야구 공원(Ball park)근처, 커다란 웨어하우스(warehouse) 빌딩은 회색 도는 살색으로 칠해져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 삼층으로 향한다.  일곱 개의 작업실들이 놓여진 공간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다시 문을 연다.  공간은 벽들로 나뉘어져 있다.  홀웨이(Hallway)에는 나무 탁자와 오렌지 커버로 쌓여진 소파가 놓여져 있다.  구석에는 오래된 냉장고와 마이크로웨이브가 친구처럼 나란히 놓여져 있다.

번째 작업실은 캐나다에서 , 결혼한 백인 게이 예술가가 차지하고 있다.  사람은 칼라에 치중하는 작업에 탐닉한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학에서 칼라 강의를 하고 있다.  공간을 빌딩 주인에게 임대한 다른 예술가들에게 서브 리스(Sub-lease)하는 사람이다.  클래식 음악을 즐긴다.

번째 작업실은 시카고에서 공부하고, 장애인 초등학교에서 선생님을 하는 중년 후반의 여자 예술가이다.  와인을 좋아하는 사람은 고대 그리스(Ancient Greek) 나이키 여신상에 초점을 두고 왁스와 페인트로 그림을 만든다.  가끔 굉장히 행복해지고 쉽게 굉장히 예민해진다.  작업의 배경 음악은 재즈다.

번째 작업실은 필리핀 이민 이세인 패션 디자이너 청년의 것이다.  사람은 대학에서 패션을 전공하다 중간에 그만두었다.  이유는 비싼 등록금으로 학위를 얻느니 사업을 시작하는 유리하겠다고 판단해서이다.  소리로 테크노 음악을 즐긴다.

번째 작업실은 동양계 미국인과 유럽계 미국인이 차지하고 있다.  같은 회사에서 가구 디자인을 하다 독립한 사람들이다.  평상시에는 굉장히 조용한 가구 디자이너인 둘은 온라인 게임에 열광한다.  이들의 작업실 너머로 들려오는 놈들이 떼로 덤벼든다”,  쪽으로 가고 있어”, “하하하하는 소리가 공간의 오후를 자주 물들인다. 

다섯 번째 작업실은 인도에서 게이 커플이 차지하고 있다.  둘은 추상화를 만든다.  항상 인도 말로 크게 서로 떠들고 소리지르고 웃고 신경질 내면서 작업을 한다.  현란하게 요란한 인도 노래가 그들의 작업과 대화에 곁들여 진다.  마이크로웨이브에 진하게 배긴 카레 냄새도 그들의 것이다.

여섯 번째는 대학원에서 화학을 전공하는 여자인데, 미술이 커다란 취미이다.  박사 과정을 까지 것인지 미술을 본격적으로 것인지 모른단다.  작업실에 두문불출한다. 

일곱 번째 작업실이 한국 이민 세대 청년의 것이다. 케이큐이디 공중 라디오(KQED public radio) 들으면서 작업을 하는 화가의 희망 하나는 전시장에서 한국인들을 자주 만나는 것이다. 

일곱 개의 작업실 문을 여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곳에서 나오는 작품들처럼 각양각색이다.



2006년 10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정한

Homebound,

40x30inches,

oil on linen,


와이오밍 , 잭슨의 갤러리에서 2006 8 18 저녁 6부터 9까지
리셉션.  사뭇 긴장된 5 40 조금 넘어 갤러리 문을 당긴다.  갤러리는
샌프란시스코의 이런 저런 갤러리들보다 규모가 크다.  갤러리 주인
바바라가 갤러리 관계자와 말을 나누다 고개를 돌린다.  웃으며 다가온다. 
그녀의 커다란 벨트가 눈에 들어온다.  독특한 차림새.  예쁘게 포장된
선인장 꽃을 건네 준다.  리셉션을 찾아오는 관람객들에게 아트스트를
알리기 위한 꽃이란다.  캐주얼과 정장 중간의 헐렁한 파란 셔츠에 꽃을 단다.

벽에 붙여진 20 안팎의 그림들이, 내가 그린 그림들이지만 오랜만에
만난 친구처럼 낯설다.  신기하게도 그림들은 각자 그것만의 기운과 분위기를
가지고 생겨난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그림의 모든 것을 조절하고
완성할 없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과 하얀 캔버스에서 살아나오는 그림이
함께 하나의 주제로 연주를 하는 같다. 

그림들의 반은 샌프란시스코의 여기 저기를 담고 있고, 나머지 반은
누드들이다.  카우보이와 인디언들로 가득 그림들이 성황을 이루는 잭슨에서
그림들은 색다른 주제를 다룬다.  그러니 이런 저런 그림들을 골라서 파는
비즈니스에 목을 메는 주인이지만, 나름대로 배려와 용단을 수행한다. 

그림은 이상한 것이다.  화가는 촉각을 세우고 자신의 세계를 캔버스에
펼친다.  많은 화가들이 새로운 무엇인가를 지향하고, 그래서 새로운 재료와
주제를 다룬다.  그래도 하늘 아래에 새로운 것은 없거나 흔치 않다.  그렇게
완성된 그림은 뮤지엄이나 갤러리로 옮겨진다.  화가가 부자가 아닌 바에야
자신의 그림을 팔아서 빵을 사야 한다.  팍팍한 빵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빵으로
바뀔 때면 붓끝이 무뎌지기 쉽다.  그러니 자기 관리와 통찰은 필수다.
아니다.  세월이 흘러서 자신이 그린 그림을 바라보면 창피할 때가
대다수다.  옛날에 모르던 것들을 깨닫고 알게 되어 옛날 그림들에서 약한
부분들이 보이기 때문이다.  인상주의 화가 드가(Edgar Degas, 1834-1917)
자신이 예전에 그린 그림들을 되산 까닭은 돈이 많아서가 아니다.  
완벽한 화가라고 일컬어지는 버미어(Johannes Vermeer, 1632-1675)
그림 수가 많지 않은 이유를, 그가 스스로 맘에 들지 않는 그림들을 불태웠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리셉션은 관람객들을 위한 파티다.  관람객은 그림들을 둘러보며
여러 가지 느낌과 생각을 즐긴다.  그것들에 화가의 이야기를 섞을 있다. 
갤러리에 놓여진 스낵과 음료수는 무료다.  리셉션에서 인생은 무료하지 않다.
그림을 수도 있다.  그림을 포기하지 않고 평생 전념할 화가의 그림을 산다면
좋은 투자를 하는 것이다.  혹시라도 화가가 유명해지면 커다란 경제적 이득까지
누릴 있다.   좋은 예가 현존하는 화가들 가장 유명한 화가의 사람인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1937-) 젊은 시절 여자 친구이다. 호크니가
게이로 컴밍아웃 하기 만나던 그녀. 그녀는 호크니가 망쳤다고 건네준 그림들
개를 보관하고 있다가 백만장자가 된다. 

꽃을 보고 다가온 한국에서 온지 30년이 되었다는 여자분, 하얀 터번을
두르고 나타난 커다란 인도 사람, 잭슨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는 뉴욕커들,
샌프란시스코에서 살다가 잭슨의 풍경에 반해서 이사를 왔다는 커플, 프랑스
여자와 결혼해서 사는 미국 노인, 딸의 미대 진학을 살며시 물어오는 부부,
카우보이 모자와 장화를 신고 등장한 장발의 중년 신사, . 형형색색의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시간이 훌쩍 지나가고, 몇몇 그림들은 집을
찾아 떠나간다.  아름다움이라는 가치는 수많은 사람들을 끊임없이 움직인다.




2006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