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suit, Nick Cave. Photo by James Prinz. Copyright Artist


7 5일까지 옐바 뷔에나 센터 포 디 알츠(the Yerba Buena Center for the Arts)의 갤러리에는 닠 케이브(Nick Cave. 랔 밴드 닠 케이브와 나쁜 종가(Nick Cave and Bad Seed)의 호주 가수 닠 케이브랑은 다른 사람이다)의 전시 지구의 중심에서 나랑 만나요(Meet Me at the Center of the Earth)”가 열린다.

          이 전시의 시발점은1991 3 2일에 발생한 로드니 킹 사건이다.  케이브(그는 현재 50세이다)는 로드니 킹 사건 이후 힘든 나날을 보냈다고 고백한다.  사건은 그를 점점 더 흑인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흑인이란 생각의 그림자는 긍정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렇게 지내던 그가 시카고의 그랜트 공원(Grant Park)의 한 벤치에 앉아있다, 땅바닥에 뒹굴고 있는 작은 나무 가지들을 바라보다, 영감을 얻게 된 것은 1992년의 어느 날이었다.  그는 나무 가지들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것들을 실로 연결한 후, 자신의 내의(內衣)를 덮었다.  그것을 입고 움직여 보고, 놀라게 되었다.  입기 전에는 조각처럼 보이던 것이 입는 순간, 두 번째의 피부가 되고, 예상하지 못했던 소리들이 들려왔다. 

그 후 케이브는 그의 입을 수 있는 조각을 소리옷(Soundsuit)”이라 이름 지었다.  그는 1992년 이후로 계속해서 다양한 소리옷들을 만들었다.  나무 가지에서 시작된 소리옷은 점점 발달했다.  전시에서 보여지는 소리옷들은 단추, 깃털, 사람 머리카락, 수판셈 알들, 사이살 삼, 염주, 등 다양한 재료들로 만들어졌다.  재료들에서 빚어나는 색채들은 원초적으로 휘황찬란하다.  도심의 저녁을 메꾸는 네온 사인들과는 다른 원색들이다.

색채와 소리옷들이 가지고 있는 형상들이 결합되며, 어렵지 않게 주술적인 느낌을 관객에게 드리운다.  더욱이 소리옷들 옆에 투사되는 영상들-소리 옷을 입고 춤을 추는 댄서의 움직임을 녹화, 문서화한-이 그 느낌을 북돋는다.  케이브 또한 소리옷을 입는 순간 느껴지는 힘, 마치 가면을 쓰는 순간 자기로부터 벗어나는 느낌을 받는 것처럼, 소리옷을 입는 순간 스스로가 변화되어 샤맨(shaman)같은 주술적인 인물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어린 여자 아이들이 하루에도 몇 번씩이고 이 옷 저 옷을 갈아입으며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거울에 비춰보며, 즐거워하고, 다양한 무엇인가를 느끼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러니 케이브의 육중하고 동물적인 혹은 아프리카의 어떤 부족을 연상시키는 원초적인 소리옷 속에 기어 들어가, 그것들에 조여지며 몸을 움직인다면, 원초적이고 동물적인 무엇인가를 느끼는 것은 당연할 것 같다.  이런 생각을 할 때, 강하게 소리옷을 한 번 입어보고 싶고, 만져보고 싶은 충동이 느껴졌다.  케이브의 말을 따르면, 소리옷을 입고 움직일 때에는 그 무게 때문에 허리를 꽂꽂히 세우고 움직여야만 한다고 한다. 

메인 갤러리의 가운데에는 지구본 조각이 묻혀져 있다.  그것이 전시의 제목지구의 중심에서 나랑 만나요(Meet Me at the Center of the Earth)”를 시각화한다.  케이브는 전시를 감상하는 사람들이 이방인들이라도 소리옷과 영상을 느끼며, 생각하며, 함께 소통하기를 희망하는 마음으로 전시의 제목을 구상했단다. 

로드니 킹 사건에서 시작된 시간들에서 얻어진 영감으로 발전된 작품들로 구성된 전시장이 로드니 킹 사건을 극복하는 혹은 그런 사건/비극이 더 이상 없는 지구를 꿈꾸는 장이라는 것은 인상적으로 필연적이다. 


6/14/2009

Robert Frank, San Francisco, 1956, Copyright Artist



에스에프 모마에서는 죠지 오키흐(George O’keeffe)의 그림들과 앤설 애덤스(Ansel Adams)의 사진들을 함께 묶어서 자연의 비슷함들(Natural Affinities)’이라는 제목의 전시, 그리고 로벌트 흐랭크(Robert Frank)의 사진들을 들여다 보기: 로벌트 흐랭크의 그 미국인들”(Looking in: Robert Frank’s “The Americans”)’이라 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전자는 9 7일까지, 후자는 8 23일까지 계속된다.  전자는 두 말할 필요 없이 미국인들에게 가장 친근한 두 명의 예술가들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니, 흥행에 실패한다면 놀랍겠다.  그러니 요즘처럼 경제가 어려울 때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서는 적격인 전시다.  후자는 1958년에 출판된 같은 제목의 책-그 미국인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전시이다. 

          1924년 스위스에서 태어난 로벌트 흐랭크는 1947년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  그 맘쯤 뉴욕에서 사진가 혹은 사진작가로 일을 했다.  1955년부터 2년 동안 구겐하임 휄로우쉽(Guggenheim Fellowship)에 힘입어, 미국전역을 돌아다니며 28,000여장의 사진을 찍었다.  식구들이 동반된 이 사진 여행은 순탄하지 않았다.  예를 들자면 중부에서 감방에 갇히기도 하고, 한 도시에서는 한 시간 만에 떠나라는 경찰의 경고를 받기도 했다.

          28,000여장의 사진들 중 엄선된 82장의 사진들이 그 미국인들이라는 제목 아래, 한 권의 책 안에 담겨 출판된 것은 1958년 프랑스에서였다.  일년 후 미국에서 출판되지만 평론가들의 혹평을 받았다.  그러나 책은 이제 50주년 기념을 경험했고, 워싱턴 디..의 내셔널 뮤지엄 오브 알트(National Museum of Art), 에스에프 모마, 그리고 뉴욕 모마에서 책을 축하하는 전시까지 벌이게 되었다.  50년에 걸쳐 가치를 인정받은 사진들이니 안보면 손해 보는 사진들이다.

          사진들은 복잡한 감정들과 느낌들을 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유년을 스위스에서 보낸 흐랭크에게 미국은 익숙한 모습으로 다가오지 않았을 것이다(이 부분은 나이 이십이나 삼십이 넘어서, 혹은 십 대에 미국에 온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부분일 것이다).  그러니 미국의 풍경들, 소리들, 그리고 감정들과 흐랭크가 어린 시절에 뛰어다니던 골목길, 옆집 아저씨와 아줌마들이 사용하던 독일어 억양들, 부모님들의 얼굴에 묻혀져 다가오는 감정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놓여져 있었을 것이다(이 공간이 앞서 이야기한 사람들에게는 그리 이해하기 힘든 공간이 아니다).  그 공간에서 자라난 것들이 사진들이다.

          사진들에 담겨진 미국은 밝지 않다.  그것들은 인종과 계층을 담담하게 직시한다.  그리고 그 배경에 금전과 자본이 자리 잡는다.  인종, 계층, 자본의 조합 그리고 다행스럽게 그것들보다 많은 그 밖의 무언가가 담겨진 사진들을 바라보면 여러 가지 생각과 감정들이 생겨난다.  특히 베이 지역에서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들이 그 사진들 앞에 서신다면 진하게 피어 오르는 그런 생각과 감정들을 피하기 힘들 듯하다. 

 

20096 1


큐이 훼이(Cui Fei), Manuscript of Nature V. Courtesy of Chinese Cultural Center Online Gallery


중국 문화원(Chinese Cultural Center, 750 Kearny, 3rd Floor, 화요일-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 일요일 정오부터 오후 4)에서 8 23일까지 현재형 바이에니얼(Present Tense Biennial)”이 열리고 있다.  전시는 중국 문화원과 키어니 스트리트 웤샵(the Kearny Street Workshop)의 공조로 이루어졌다.

          샌프란시스코 모마(SF MOMA)와 버클리 아트 뮤지엄(BAMPFA)에서 열렸던 중국 본토 예술가들의 전시들과 어쩔 수 없이 병렬되고 대조되는 이 전시는 31명의 베이 지역, 그리고 해외 중국 작가들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의 초점은 다양한 작가들(중국계 미국인, 본토 중국인 등)이 바라보는 현재의 중국 문화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작품들 중 눈에 익숙해서 띄는 설치 작품 하나는 큐이 훼이(Cui Fei)의 것: 하얀 벽에 세로로 줄을 맞춰 나열된 나무 조각들이다(사진 참조).  나무 조각들을 벽에서 조금 떨어져서 보면 옛날 사람들이 멋들어지게 한지에 써내려 가던 한문들이 연상된다.  벽으로 가까이 가서 바라보면, 한문에 대한 환상은, 샌프란시스코 어느 공원에 가도 볼 수는 있는, 공원 바닥 여기 저기에 떨어져 있을 작은 나무 조각들이다.  그러니 한문이라는 언어에 대한 환상은 자연물로 형상을 바뀌며 물질화된다.  그렇다면 상형문자인 한문을 사용하는 중국 사람들은 자연과 한자 사이에서 사회를 이루고 생활을 꾸려가고 있는 것이다.  한 발 더 나아가자면, 자연에서 비롯된 문자 즉 자연의 모양에서 비롯된 환상을 기초로 이루어진 문자, 그 문자들로 꾸려진 문화를 몸과 마음에 받아들이며 살아가도 있는 것이다. 

문화는 실제로 마음과 몸에 커다란 각인을 남긴다.  예를 들자면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마음 속에게는 영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정서가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오백년이라는 노래의 가사 한 줄을 생각해 보자. “한많은 이 세상 야속 님아 정을 두고 몸만 가니 눈물이 나네.” 이 문장을 읽는 한국사람들의 마음 속에서는 어떤 정서가 그려진다.  그런 정서를 영어로 번역하는 것은 창작으로 인정할 수 밖에 없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선구자로 일컫어지는 작고한 아르헨티나 소설가, 번역가, 평론가, 그리고 시인이었던 호르헤 보르헤스(Jorge Francisco Isidoro Luis Borges)가 이야기 했듯이 말이다.  

문화가 몸에 미치는 영향을 찾아보자면, 요새는 평범한 미국 사람의 몸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문신이 그것이다.  그것이 너무 작위적이라면, 다른 예로 재미 교포 이세들과 일세들의 얼굴 생김이 다른 것을 들 수도 있겠다.  이 이론은 확실하게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흥미롭다.  아시다시피 영어로 말할 때 사용하는 얼굴의 근육과 한국어로 이야기 할 때 사용하는 얼굴의 근육은 다르다.  바로 그것 때문에 영어로 이야기를 많이 하는 재미 교포 이세들의 얼굴 생김이 일세들과 다르다 것이다.   

이쯤에서 다시 전시로 돌아가자. 전시장에는 큐이 훼이의 설치 외에도 타마라 애바이티스(Tamara Albaitis)의 설치, 히로시 수기모토(Hiroshi Sugimoto)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토마스 창(Thomas Chang)의 사진들, 몽환적인 매일온(Maleonn)의 사진들 등 흥미로운 작품들이 동시대를 살아가는 본토 중국인들의 모습과 문화, 미국에서 살아가는 중국인들의 모습과 문화, 정체성들에 대한 이미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는 케빈 첸(Kevin B. Chen), 애비 첸(Abby Chen), 그리고 엘렌 오(Ellen Oh)가 규레이팅했다. 



5/10/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