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54건

  1. 2007.02.26 화가와 왕
  2. 2007.02.26 크리스마스 캐롤
  3. 2007.02.23 메리 카셑

화가와 왕

그림들/sf 중앙일보 2007. 2. 26. 10:04 posted by 긴정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1497-1543) 클리브스의 앤(Anne of Cleves) 캔버스에 접착된 양피지에 유화 65 x 48 cm 1538-9

 

9 17일까지 리젼 오브 어너(링컨공원 안, 34th Avenue Clement Street)에서 노르만디의 모네(Claude Monet in Normandy)전이 열린다.  못 보면 후회할 전시다.  대학 시절 유럽의 미술관들을 돌아보겠다는 생각에 떠났던 배낭 여행. , , 고 미술 교과서에 조그맣게 조악하게 인쇄된 그림들을 실제로 바라보았을 때의 충격은, 거의 월드컵을 19인치 텔레비전으로 보는 것과 축구장에서 직접 보는 것만큼 커다란 차이가 났다.  그러니 코 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모네의 전시를 놓치는 것은 행복 1시간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인상주의 화가로 분류되는 모네는 드가(Edgar Degas), 르느와르(Auguste Renoir), 세잔(Paul Cézanne)과 어깨를 겨누는, 그만의 독보적인 영역을 창조한 작가이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옛날 화가들이 하던, 왕과 귀족들의 사진기 역할을 벗어 던졌다.  그 배면에 초기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경제 체제와 왕권 붕괴 후 재조정된 사회 가치가 자리잡고 있었다.

             자본주의가 절정에 달해 있는 2006년의 화가 혹은 시각 예술 작가들의 작품들은 그림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비디오, 행위 예술 등 창작의 영역이 넓어졌다.  그 와중에 전통적인 창작 행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그림 그리기라는 행위를 계속하는 작가들과새로운 창작에 의미를 두는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갈등은 경제적, 정치적으로 심화되었다.  끊임없이 문화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미국에서 작가들간의 갈등은 오히려 당연하다.  문제는 흑백으로 치달으며 벌어지는 대화의 단절.  북한 미사일 문제처럼 적대적이고 단절적인 상황은 일반 대중으로서 개인에게 재미가 없다.

              체제와 거대 담론들은 권력층과 그 주변의 득권자들에게 만큼, 하루 하루 생활을 꾸려가는 개인들에게 연관되지 않는다.  부단한 텔레비전과 신문 등 매스 미디어들에서 분출되는 거대 담론들과 이미지들을 피하기가 쉽지 않지만, “배 고픈데 라면 끊여 먹을까?”하는 한마디보다 개인에게 다가서는 거대 담론과 프로파간다를 찾기는 하늘에서 별 따기다.  그렇다면 권력자와 권력층의 이익과 행복이란 얼마나 특별하고 중요한 것일까?

             1539년 잉글랜드의 왕 헨리 8(Henry VIII)  네 번째 부인을 결정하기 위해 궁정화가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1497-1543)을 클리브스로 보낸다.  그 곳 공작의 힘을 얼으려는 책햑과 더불어, 두 자매 중 앤(Annes)의 얼굴을 그림으로 보고 결혼 여부를 결정하려 했던 것.  그런 왕의 생각 덕분에 우리는 홀바인이 그린 클리브스의 앤(Anne of Cleves)라는 명작을 접하게 되었다.  관람자의 시선을 다소곳이 피하는 그녀의 태도, 피부색에 어우러지는 낭만적인 주홍의 주름들이 흘러내리는 의복, 그 위로 겹쳐지는 장신구, 그녀와 의관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배경의 녹색.  그림을 본 후, 헨리 8세는 당연히 결혼하기로 결정했다.  비극은 런던으로 찾아온 앤의 모습이, 그림을 본 후, 기대로 꽉 찬 왕의 눈에 차지 않아서 시작되었다.  왕은 프랜더즈의 말(a Flanders mare)이라고까지 언급했다.  결혼을 취소하는 왕의 노력은, 조약 때문에 무산되고, 둘은 1540년 초에 결혼해서, 같은 해 중순에 이혼했다.

              예나 지금이나 왕들과 권력자들도 개인들과 다를 바 없는 인간들이고, 조금이라도 더 행복해지기 위해 힘을 쓰는 것이 당연지사인 듯 하다. 귄력과 무관한 대다수 개인에게, 다행인 것은 개인의 권리와 지위가 역사 속에서 상위 조절되어가고 있다는 것, 그리고 리젼 오브 어너가 샌프란시스코에 있고 모네의 전시를 볼 수 있다는 것.

 


2006 7

크리스마스 캐롤

그림들/sf 중앙일보 2007. 2. 26. 10:03 posted by 긴정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Rossetti, Dante Gabriel

A Christmas Carol
1857-58
Watercolor and gouache on panel
13 1/8 x 11 1/4 in
Fogg Art Museum, Cambridge, Massachusetts

 

 

1862 2 11 런던의 저녁은 탁탁한 안개가 가득 담긴 어둠이 도시를 덮고 있고, 그녀의 안에는 아편 정기가 병목까지 담긴 뚱뚱한 녹색 유리병이 날카롭게 반짝거린다.   번째 임신의 결과가 차갑게 딱딱한 딸로 이어지지만 않았어도 이럴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결혼하기 결정적인 순간마다 혼인을 뒤로 미루던 지금의 남편을 뒤로 하기만 했어도 이럴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정도 양의 아편 정기면 짓궂은 현실의 손에서 벗어나기에 충분할 거야.’ 

서른 엘리자베스 시달(Elizabeth Siddal) 자위가 촉촉해진다.  생각지도 않은 너무 빨리 다가온 번째 임신이 이런 결정을 도운 것인지도 모른다.  

남편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1869 영국 첼시의 지붕 밑에서 가득한 위스키를 들이키며 사십대 중년의 단테 가브리엘 로제티(Rossetti, Dante Gabriel) 탁자 위에 책들을 응시한다.  낡은 스케치북들과 시집들.  귀가 닳은 스케치 권을 집어 연다. 여기 저기에 엘리자베스 시달의 모습이 보인다.  그녀의 구리 머리카락, 도톰한 복숭아 입술, 우아하게 목선.  스케치북 여기저기에 그녀는 그녀의 미모를 추앙하던 많은 화가들로 둘러 쌓여 있다.  

나도 명이었지.’ 

그의 씁쓸한 미소 위로 잔이 기운다.   화가들 사이를 아름다운 금발과 섬세한 외모로 횡보하던 자신의 모습이 떠오른다.  시와 그림, 아름다운 여인들로 물들여졌던 시간들.  이제는 과거다.  어느새 그의 상반신은 육중하게 불룩해졌고, 옅어진 금발들은 그의 머리를 가리지 못한다.  술과 약이 없이는 하루를 보내기 힘들다.

그의 하루를 채우는 슬픔과 공포는 탁자 위의 시집들에서 스며난다. 

저것들만 없었어도, 저것들만 테이블 위에 놓여지지 않았어도, 이렇지는 않았을 꺼야.’ 

시집들은 모두 로제티가 것들이다.  그것들은 엘리자베스를, 젊음을,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노래들은 모두 엘리자베스와 함께 묻혀져 있었어야 했다.  친구 화웰의 감언이설에 넘어가서 시집들을 엘리자베스의 무덤에서 꺼낸 일은 어처구니 없는 일이었다.  엘리자베스가 관속에서 아직도 미모를 지키고 있었고, 그녀의 구리 머리카락이 자라나 관을 가득 채우고 있다는 화웰의 이야기는 듣지 말았어야 했다.  그것들을 출판했던 일은 더할 나위 없이 어리석은 일이었다.  시집을 폄하했던 평론가들과 세상 사람들의 비난은 괴로운 일이지만 견디지 못할 것은 아니었다.  

그런 것들은 사실 것도 아니야.’  

그를 사로잡아 경직시키는 그것은 속에 누워 있는 엘리자베스의 모습에 대한 상상이었다.  그의 상상을 가득 채우며, 자라나는 그녀의 진한 구리 머리카락과 그녀의 얼굴.  이 상상은 현실보다 강렬하다.  지우려고 애써보아도 더욱 선명해지며 커지는 이미지를 로제티는 참을 수가 없었다. 

왈칵 입안으로 위스키를 털어놓고, 잔을 탁자에 내려놓으며 술병으로 눈을 돌린다.  술병 너머로 예전에 그린 그림이 하나 보인다.  크리스마스 캐롤.  엘리자베스와 결혼 , 그녀가 임신하기 일년 전에 그렸던 그림이다.  그림 위로 애를 가진 기쁨에 어린아이처럼 흥분을 감추지 못했던 그녀의 모습이 겹쳐진다.

2006년 12월 16일

메리 카셑

그림들/sf 중앙일보 2007. 2. 23. 00:24 posted by 긴정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리 카셑(Mary Cassatt)
Mother and Child
c. 1900
Pastel on tan wove
n paper
71 x 58.5 cm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샌프란시스코 시내에서 바트(장거리 지하철)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 여자 아기를 유모차에 태우고 기차를 기다리는 여성이 눈에 들어왔다.  아기를 바라보는 눈이 변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것은 집에 있는 지난 아이를 키운 경험 때문일 것이다.  처음 처가 임신했다고 말해 주었을 때의 가슴을 메우던 복잡하고 들뜨던 감정부터 시작된 아기와의 인연은 여러 가지 생각을 선사해 주었다.  가장 직접적으로 수면에 떠오른 질문은 부모님들에 대한 것이다.  다섯이나 되는 자식들을 어떻게 키우셨을까?’

하나 낳고 이제 그만 낳아야지.”  하는 부모들이 많은 지금.  낳아 기르는 사람들은 부자야.”  하고 재벌인가 보다 자식이 셋이야. 셋을 어떻게 기를까?” 하는 사람들.  틈에서 어린 시절 할머니의 말씀이 오르곤 한다.  아기는 삼신 할머니께서 점지해주시는 거야.  아기들 엉덩이가 파란 색인 것은 엄마 속에서 편하게 먹고 놀다가 바깥 세상으로 나가기 싫어하고 힘들어하는 아기들 어여 나가라고 엉덩이를 대씩 쳐주셔서 파란 색인 거야.”  근데 삼신 할머니가 누구야?”하고 할머니에게 번이고 물어보았다. 그러면 할머니의 답은 항상 같았다.  엄마 아빠한테 아기를 주시고, 아기들 자라날 건강하고 씩씩하도록 돌봐주시는 분이지.” 할머니 치마 폭이 아늑해서 번이나 했던 이야기들.  이제 할머니는 삼신할머니와 함께 즐겁게 혹은 아이들을 돌봐주시고 계실 것이다.

미술 교과서 어디에서인가 만나서 지금까지 뇌리에 선명하게 남아있는 이미지 하나는 미켈란젤로(1475 –1564) 대리석 조각 피에타(Pietà, 1498-1499)이다.  미켈란젤로는 여러 개의 피에타를 조각했는데, 가장 유명하고 만들어졌다고 평가 받는 것이 로마에 있는 피터 바실리카(St. Peter’s Basilica) 있다.  성모께서 십자가에서 내려진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그녀의 무릎 위에 올려 놓으시고 차마 눈을 내려보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의 조각이 그것이다.  매번 조각의 사진을 때마다 낮고 서늘하게 정화하는 흐느낌의 리퀴엠(|Requiem) 듣는다.  음악을 들을 , 형상과 색을 느꼈다는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와는 비슷하게 다른 셈이다.

성공한 주식 중계인 아버지와 금융계 집안에서 자라난 어머니 사이에서 자라난 메리 카셑(Mary Cassatt, 1844-1926).  그녀의 어머니와 아기 그림은 부드럽고 뽀송뽀송한 봄의 소리를 들려준다.  집안의 반대에도 불고하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그녀는 펜실베니아 아카데미 보드 화인아트에서 수학하다 남학생 중심의 교육에 염증을 느끼고 유럽으로 향했다.  그녀는 당시 서양 예술의 중심이던 프랑스 파리에서 인상주의 화가 카밀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 –1903) 만나, 그의 밑에서 그림을 배웠다.  그곳에서 파스텔로 그림을 그리는 드가(Edgar Degas 1834 –1917), 마네(Édouard Manet, 1832 –1883) 그림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여자 화가 벌스 모리섵(Berthe Morisot, 1841 – 1895) 친구가 되었다.  르느와르(Pierre-Auguste Renoir, 1841– 1919) 놀림을 접했다.   

       그 그녀의 그림은 점점 자라나 인상주의 화가들의 영향에서 벗어난 간결하고 단순한 형상과 부드럽고 감성적인 빛을 담아내는 색들로 가득 찬다.  그것들은 볕처럼 부드럽고, 매화처럼 시리게 분명한 그녀의 마음을 담고 있다독신으로 그림과 함께 살아가던 그녀는 어머니의 간호를 위해서 그림을 중단하기도 했고, 남동생의 죽음 동안 붓을 잡지 못했다.


2007 02 04



'그림들 > sf 중앙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가와 왕  (0) 2007.02.26
크리스마스 캐롤  (0) 2007.02.26
현실은 예술을 모방한다. 특히 달리 그림을.  (0) 2007.02.20
보이지 않는 거미 소리  (0) 2007.02.19
상상과 창조  (0) 2007.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