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하르트 리히터(Gehard Richter). 스트론티엄(Strontium), 2004


십. 앞 사람의 앉은 키, 머리 크기에 신경 쓰이지 않는다.
구. 언제든 화장실에 들락거릴 수 있다.
팔. 팝콘 냄새가 없다.
칠. 깜깜하지 않다. 물론 깜깜해서 극장에 가는 분들도 있겠지만.
육. 상영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오. 녹색의 천국, 골든 게이트 공원 안에 있다.
사. 동행한 친구, 연인, 가족과 수시로 재잘거릴 수 있다.
삼. 광고가 없다.
이. 아기와 같이 갈 수 있다. 어린 아기가 울거나 소리 내도 눈 찌푸리는 사람들이 없으니 “아이 때문에 어디 갈 수가 없다” 하시는 분들에게는 이 만한 곳이 없다.
일?
70년대 초부터 삼십여 년을 서울시 서대문구에서 지내와서, 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의 명동이 기억에 남아있다. 초등학교 시절 날을 잡아 친구들과 서대문 로터리, 광화문, 시청을 걸어지나 도착한 명동. “코스모스 백화점이 최고야.” “미도파가 최고다.” “무슨 말이야. 화신 백화점이 있다.” 우겨대며 당시 드물던 키 큰 백화점 유리문을 밀고 지나, 에스컬레이터에 발을 올리던 기억. 에스컬레이터를 둘러싼 커다란 거울과 휘황찬란한 조명들. 버튼을 누르면 불이 들어오고,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위 아래로 날아다니는 엘리베이터. 더군다나 신세계 백화점의 바깥을 볼 수 있게 유리로 된 엘리베이터는 커다란 충격이었다. 새로운 것을 ‘본다’라는 것에 빠져든 것이 그 때부터였을까? 지금은 샌프란시스코 다운 타운의 갤러리들과 뮤지엄들을 돌아다니며 눈요기를 한다.
골든 게이트 공원 안, 재패니즈 티 가든 근처에 차를 세우고, 구리로 둘러진 독특한 건축으로, 좋다 아니다 구설에 쌓였던 드 영 뮤지엄의 외관을 슬쩍 더듬어 보고 입구로 향한다. 지진으로 유명한 도시의 뮤지엄 입구 마당 타일과 그 위에 놓은 커다란 돌덩이들은 좌악 좌악 지진이 지나간 듯 갈라져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커다란 농담이다.
문을 지나 계획된 동선을 따르면, 알루미늄 위에 앉혀진 수많은 커다란 동그라미들이 눈으로 날아든다. 스트론티엄(Strontium). 신문에 난 사진을 전자 현미경으로 찍어낸 이 작품은 독일인 화가 게하르트 리히터(Gehard Richter)의 것이다. 4년 전 샌프란시스코 모마(뮤지움 오브 모던 아트)에서 회고전을 했던 그는 생존하는 화가들 중 독보적인 인물이다. 작가로서 가지는 자유와 권리에 대한 주장은 르네상스 마스터들의 테크닉, 추상, 미니멀리즘(특정한 사물과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작가를 표현하는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항으로, 느낌을 배제하는 요소적, 기하학적 모습이 담기는 그림 경향), 팝 컬쳐를 무리 없이 들락거리며 창조되는 수준 높은 작품들로 구현된다. 당연히 한 두 가지 주제로 평생을 통해 작품 생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미술 세계에서 그는 커다란 질문이다. 그 질문 위에 미디어를 피하는 그의 태도가 작품에 신비함을 더한다.
일! 게하르트 리히터(Gehard Richter)의 최신작 스트론티엄을 드 영 뮤지엄에 가면 무료로 볼 수 있다.

참고 웹사이트 de young

북가주 중앙일보, 2006년 3월 1일 (수요일), A-14

'그림들 > sf 중앙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꽃의 혼  (0) 2007.01.29
현실은 그림보다 공교롭다  (0) 2007.01.26
아담의 탄생(The Creation of Adam)  (0) 2006.03.20
헌금  (0) 2006.03.08
SF MOMA '척 클로즈' 전  (0) 2006.02.09

SF MOMA '척 클로즈' 전

그림들/sf 중앙일보 2006. 2. 9. 02:02 posted by 긴정한

클릭 -> 커짐


비가 많던 12월이 지나고 곧 봄이 올 것 같다. 겨울내 하던 작업을 마무리해서 갤러리에 보내고 나니 긴장이 풀린다. 기분 전환도 하고 작업하느라고 미루었던 척 클로즈(Chuck Close)의 전시가 있는 샌프란시스코 모마(뮤지움 오브 모던 아트)로 발길을 돌려 보았다.

샌프란시스코 모마는 미션과 하워드 사이의 3가에 자리잡고 있다. 뉴욕 뮤지움 오브 모던 아트나 엘에이 뮤지움 오브 컨템프러리보다는 규모가 작고, 시카고 뮤지엄 오브 컨템프러리보다는 규모가 크다. 리젼 오브 어너(Palace of region of honor), 디 영 뮤지엠(de Young)과 더불어 모마는 샌프란시스코의 대표적 뮤지엄이다. 유리문을 밀고 들어가면 커다란 네 개의 기둥들이 높은 천장을 받들고 있다. 네 개의 기둥들 안쪽의 육면체 공간이 상승하며 원형 창으로 이어지는 기호학적 공간은 전시장과 도시의 경계이다.

척 클로즈의 자화상들은 현대미술사에서 빠지지 않는다. 예일대학 미대를 졸업하고 “강력하고 공격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으로 담배를 물고 냉소적으로 세상을 내려다보는 자신의 얼굴을 커다랗게 그린 그림(1967-68)이 그것들의 시작이었다. 특정한 사물과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를 표현하는 앱스트랙트 익스프레션니즘(추상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에 반항으로, 느낌을 배제하는 요소적, 기하학적 모습이 담기는 미니멀리즘이 유행하던 1960년대 말 70년대 초, 감정을 배제한 손놀림이 극대화되어 있는 이 자화상은 아이러니컬 하게도 굉장한 열정이 느껴지는 우주적 디테일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사진 기술이 없이 만들어질 수 없는 그림이다. 한국 사람들이 이중섭을 좋아하듯 미국인들이 열정적으로 사랑하는, 초상화로 유명한 존 싱거 설젼(John Singer Sargent)이 운명한 1925년 이후 사진 기술이 초상화의 줄기를 끊었다는 이야기는 척 클로즈의 자화상들에는 걸맞지 않다. 척 클로즈는 적극적으로 사진 기술을 받아들여 자신의 그림들에 녹여냈다. 때로 그의 작품들은 사진으로 마무리 되었다. 그런 작품들을 보면 “미디움이 메시지다”라는 맥루한의 명제가 떠 오른다. 같은 내용도 다른 미디움으로 표현될 때 전혀 다른 무언가를 전달한다. 마치 본인의 얼굴을 거울에 비쳐 볼 때, 흑백 사진으로 볼 때, 비디오로 찍어서 볼 때가 다 다른 느낌인 것처럼.

전시를 통해 무려 40년 동안 창조된 작품들 속에서 변해가는 척 클로즈가 보여진다. 초기 작품들은 색이 배제되어있다. 흑백이다. 후기 작품들은 놀랍게도 강렬한 원색들로 짜여진다. 그림 속 시선도 냉소적이고 거리를 두던 자세에서 중립적이고 부드럽게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힘들고 외롭게 공격적으로 살아가던 젊은 시절을 거쳐 인정받고 넉넉해지면서 부드러워지고 원숙해 졌을까?

척 클로즈의 전시는 2월 28일까지 이어진다.

참고 웹사이트 www.sfmoma.org

북가주 중앙일보, 2006년 2월 7일 (화요일), A-15

'그림들 > sf 중앙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꽃의 혼  (0) 2007.01.29
현실은 그림보다 공교롭다  (0) 2007.01.26
아담의 탄생(The Creation of Adam)  (0) 2006.03.20
헌금  (0) 2006.03.08
드 영 뮤지엄(de Young museum)이 극장보다 좋은 열 가지 이유.  (0) 2006.02.21


이책은 영국에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열린 전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카타로그이다.

첫 페이지에 이탈리아의 조각가 Joseph Towne가 만든 허리에서 잘린 남자 왁스 조각이 있다. 의학을 위해 제작되었다지만 사진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시각적인 충격을 일으킨다. 허리가 잘린 채 벌려진 입주변 수염 하나 하나들이 서리얼(Surreal)하다. 가까이서 보고 싶은 마음을 다스리기가 쉽지 않다.

페이지가 넘어가면서 재미는 더해 간다. 미친 사람들의 머그 샷을 통해서 미친 사람들의 얼굴이 가지는 공통점은 찾으려는 연구 사진들. 왁스로 만들어진 태아의 해부 조각, 산모의 복부 해부 조각, 살아있는 농부의 얼굴에 드리워진 공포는 그를 향해 다가가는 스켈레톤으로 설명되는 그림. 그림들, 사진들, 조각들, 하나 하나 인체에 대학 과학적 예술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다 빈치, 렘브란트, 바살리 이미지들도 삽입되어 있다. 그 큰 이름들의 이미지와 이름 모를 예술가들의 이미지들이 별 반 다르지 않은 충격을 가져오는 까닭은 우리가 모르는 수많은 예술가들이 그들의 영혼을 얼마나 활활 태웠는지 깨닫게 해준다.

개인적으로 도둑, 집시, 사기꾼이 많은 이탈리아를 그렇다고 느끼지만 어쩔 수 없이 그 곳이 지니는 예술적 가치를 긍정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가 이책이다.

상팔 장군의 요청에 따라 무섭게 심각하지 않은 사진 두 장(노약자와 임산부를 위해서)을 책에서 스캔받아 올림. 불법이란는 생각이 강하게 들지만 책 선전에 가까운 글이니 제작측에서도 별 불만없으리라 추측해 본다.


클릭 -> 커짐

F. Calenzuoli
Female Reclining Figure, 1831
wax



클릭 -> 커짐

Hugh Welch Diamond
Photographs of the Insane, 1850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hm-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0) 2007.06.06
good sites  (0) 2007.05.22
일들 (Jobs website)  (0) 2007.05.21
  (0) 2007.03.07
Colo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2) 2005.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