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ckson Pollock painting in his studio on Long Island, New York, 1950. © Hans Namuth
세상에서 제일 비싼 그림은 누가 언제 그렸고, 얼마일까?
갤러리와 뮤지엄을 돌아다니며 느껴본 분위기에서 빠질 수 없는 한 부분; 일상 생활에서는 찾아보기 쉽지 않은 사람들의 고상한 표정과 우아한 몸짓이다. 아등바등하며 살아가는 삶의 한 구석에 그런 표정과 몸짓을 만들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게 가식적이거나 이율배반적이라고 생각이 든다면 살짝 예민한 것 일까? 바쁜 생활 속에서 별 이유 없이, 조금 느슨해지고 넉넉해지는 게 꼭 요가를 시작해서거나, 배불리 밥을 먹은 뒤 따뜻한 곳에 늘어붙어있을 때에만 생기는 태도일 필요는 없다.
그러고 보니 그런 태도의 사람들을 무더기로 만나본 기억도 있다. 한국에 가서 두 번 참가해 본적이 있는 대학 동문 신년하례식이 그랬다. 교수라는 직업이 이유로 그랬던 것 같다고 생각되는 데, 이 사람들도 개인적으로 만나면 뭐 이렇고 저런 생활인들이다. 그런 걸 보면 군중심리는 강력하다.
이야기가 더 멀어지기 전에, 다시 갤러리로 돌아가자. 그곳에 유별난 태도의 사람들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고 느껴지는 평등의 순간이 있다. 그 순간은 가격표에서 번져 나온다. 가격표는 눈을 맞추는 사람들의 얼굴에서 마술처럼 가면을 벗긴다, 마치 마지막 술자리가 끝난 교수들 테이블 위에 놓여진 계산서처럼.
1948년 잭슨 폴락(Jackson Pollock, 1912-1956)이 그린 No 5(8 x 4 feet, oil on fiberboard)가 2007년 8월 기준으로 세상에서 제일 비싼 그림이다. 그림은 2006년 11월에 일억 사천만 달러에 거래되었다. 그려진 지 50년 남짓 지난 지금, 공업용 페인트를 사용한 덕에 색이 바래고 있는 그림. 1958년 뉴욕 모마(MoMA)가 새로운 미국 그림 전(The New American Painting Exhibition)으로 유럽 8개 도시에, 폴락을 주축으로 추상 표현주의 그림들을 전시했을 때, 많은 유럽의 비평가들의 가혹한 혹평(‘왜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은 그들이 화가라고 생각하는가?’, ‘이건 예술이 아니다 – 나쁜 농담이다; 거대한 거미 줄에서 나를 구해달라’ 등)에 시달렸던 그림. 그것이 세상에서 제일 유명하다는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 da Vinci, circa 1503-1507)의 모나리자(Mona Lisa, 30x21 inches, oil on poplar panel)보다 비쌀까? 1962년 프랑스의 르브르 뮤지엄이 모나리자를 미국으로 전시 여행 보냈을 보험금이 일억 달러(2006년 금액으로 육억 칠천만 달러)였으니, 대답은 쉽게 “아니다” 이다.
Leonaldo da Vinci, Mona Lisa, 30x21 inches, oil on poplar panel, about 16th Century.
두 그림의 재료 값만 따져보면 몇 백 달러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 무슨 이유로 두 그것들의 가격이 하늘을 뚫고 치솟을까? 답은 유리를 자르는 것 왜에 별 쓸모가 없는, 여성들의 가장 친한 친구라는 다이아몬드가 모든 사람에게 꼭 필요한 물보다 터무니 없이 비싼 이유에서 찾아진다. 희소가치.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한다면 문화적 희소가치이다.
미술사를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이, 애들이 그린 그림이랑 별로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는, 혹은 맘만 먹으면 너도 나도 그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폴락의 그림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가치는 미국 미술사에서 빠질 수 없이 필수적이다; 2차 대전 후, 냉전의 새벽 속에서, 세계 미술의 중심지를 피카소(Picasso)와 브라크(Braque)로 대변되는 파리에서 뉴욕으로 옮긴 사람들이 추상 표현주의 작가들- 마크 로스코(Mark Rothko), 윌렘 드쿠닝(Willem de Kooning), 놀만 루이스(Norman Lewis)- 이고, 폴락이 그 중심에 서있다. 그러니 추상 표현주의는 현대 미술사의 커다란 한 획으로 기록되고, 그들의 그림들이 많은 사람들을 매혹한다. 그렇게 도취된 사람들 사이에서 치열한 자본 게임이 벌어지고, 자본이 몰리는 만큼 그림에 대한 보호도 철저해졌고, 저작권에 대한 보호도 투철해졌다. 이제 문화와 자본은 이혼이 불가능하다. 이쯤 되니 갤러리나 뮤지엄에 즐비한 비싼 문화를 맛보는 사람들의 고상하고 우아한 태도가 공연하지 않다.
'그림들 > sf 중앙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짬뽕공과 태극기 (3) | 2007.11.12 |
---|---|
구운몽(九雲夢) (0) | 2007.09.17 |
드 영 뮤지엄(the de young museum); 히로시 수기모토 회고전(Hirosi Sugimoto retrospective exhibition) (0) | 2007.08.21 |
2007년, 미국 고등학생들 (0) | 2007.08.06 |
After Modern Art 1945 – 2000 (02) (0) | 2007.07.23 |